SBC (Single Board Computer) 46

ODROID M1S, Realsense Libarary 설치

인텔 홈페이지보면 odroid 를 공식 지원하지는 않기때문에 쉘스크립트 실행을 해야한다고한다. 📌 실행해야 할 패치 파일patch-realsense-ubuntu-odroid.shOdroid 장치 전반을 위한 패치일 가능성이 큼.patch-realsense-ubuntu-odroid-xu4-4.14.shOdroid XU4와 커널 4.14에 특화된 패치.📌 Odroid XU4를 사용하고 커널이 4.14인 경우 patch-realsense-ubuntu-odroid-xu4-4.14.sh를 실행📌 그 외의 Odroid 장치를 사용한다면 patch-realsense-ubuntu-odroid.sh를 실행 🚀 실행 순서 (CMake 실행 전에 진행)bash복사편집cd ~/Projects/librealsense/s..

ODROID M1S, Realsense 카메라 no connection 시

ODROID XU4 / M1S 같은 보드들은 V4L2 드라이버 지원이 불완전할 수 있음RealSense 기본 설정은 V4L2 기반이므로, USB 백엔드(RSUSB)를 강제로 활성화해야 인식 가능USB 백엔드 활성화(-DFORCE_RSUSB_BACKEND=true)하면 카메라를 직접 USB 장치로 연결하여 사용 가능 cd ~git clone https://github.com/IntelRealSense/librealsense.gitcd librealsensemkdir build && cd buildcmake .. -DBUILD_EXAMPLES=true -DFORCE_RSUSB_BACKEND=truemake -j$(nproc)sudo make install DFORCE_RSUSB_BACKEND = true 해..

ODROID M1S, 소개 및 자료 ( 출처 : 하드커널 )

ROCKCHIP RK3566 , Datasheet HARDKERNEL M1S , FEATURE HARDKENEL PINMAP HARDKENEL , DEVICE TREE OVERLAY https://wiki.odroid.com/odroid-m1s/application_note/device_tree_overlay odroid-m1s:application_note:device_tree_overlay [ODROID Wiki] 'ODROID-N2' on this page refers to the ODROID-N2 series (N2, N2+, N2L). By using this Overlay feature, we can easily set the board to use a peripheral including a..

라떼판다(Lattepanda) v1 , Hardware / Pin-map

Pinouts in area U1 are assigned to the X-Z8350 core. Pinouts in area U2 are assigned to the ATmega32u4 core. Each of the 20 digital pins (A0 - A5, D0 - D13) in area U2 can be used as an input or output, each operating at 5 volts. Each pin can output or receive 40 mA and each has an internal pull-up resistor (disconnected by default) of 20-50k ohm. Caution: Exceeding 40mA on any I/O pin may cause..

MicroPython, UF2 파일은?

UF2 란? USB 플래시 드라이브에 펌웨어를 설치하는 데 사용되는 파일 형식 UF2 파일은 이진 파일 형식이며, USB 플래시 드라이브에 펌웨어를 설치하는 데 필요한 모든 데이터가 포함 마이크로컨트롤러 개발보드인 라즈베리 파이 Pico와 같은 장치에서 프로그램을 업로드하는 데 사용되는 파일 형식입니다. UF2는 일종의 부트로더로 작동하여 사용자가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코드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합니다. 플래시 메모리에 직접 업로드되며, 이는 펌웨어 업데이트 및 개발 과정에서 매우 유용합니다. UF2 파일 형식은 표준적으로 블록 기반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며, 이는 업로드하는 코드와 다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. 이러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초기 설정, 라이브러리 파일, 이미지, 사운드 파일 등의..

라즈베리파이 피코 , Visual Studio Code (VSCODE) 으로 개발하기 (uPython)

라즈베리파이 피코 개발시 Thonny 간단한 통합개발 툴 많이 사용할 것입니다. 하지만 이번 글에서는 라즈베리파이 피코를 Visual Studio Code 에 연동해서 개발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. 라즈베리파이 피코 에 마이크로파이썬 이미지(*.uf2)를 먼저 설치합니다. 라즈베리파이 피코에 MicroPython 을 아래 홈페이지 접속해서 라즈베리파이 피코용으로 다운로드받습니다. https://micropython.org/download/rp2-pico-w/ 해당 포스팅에서는 23년 4월 26일 릴리즈한 안정화버전을 사용했습니다. 먼저 Python 최신버전 ( v3.11.x and more) 을 설치합니다. 설치옵션중에 환경변수 추가 여부를 묻는데 체크 표시를 해야 명령프롬프트 나 VSCODE 에서 해당 ..

라즈베리파이 피코, 간단 IO 및 OLED 제어 (SSD1306)

일단 라즈베리파이 피코를 구입했으면 공홈에 접속해서 관련 정보를 숙지합니다. 필자는 MicroPython 을 사용하여 간단한 스위치 및 IO 제어 그리고 OLED(SSD1306) 제어를 해보려고하니다. 상황봐서 온습도 및 조도 측정 (ADC) 를 사용할 수 도있으나 너무 복잡하면 나중에 유지보수를 신경써야하기때문에 심플한 제어 보드 제작을 중점으로 하겠습니다. 필자가 사용하려는 마이크로파이썬은 무엇일까? 그냥 파이썬인데 좀더 가볍게 만든게 아닐까 싶습니다. 10년넘게 사용한 C 언어가 편하지만 대세인 파이썬을 한번 써보기로합니다. SSD1306 을 기존 라즈베리파이 파이썬으로 구현했기때문에 편한점도 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. 마이크로파이썬을 어떻게 사용하고 업로드 해야하는지 아주 간략한 gif 인데 이해하..

라즈베리파이3, BCM2709 ? 뭘까?

BCM2709 커널 컴파일하다보면 BCM2709 라는 뭔가 칩셋명같은 것이 보인다. 무엇일까? 구글에서 뭔가 실마리가 될만한 표를 찾았다. 하드웨어칸에 BCM2709 라고있다 . CPU 명일지도 몰랐다고 생각했는데 CPU 는 브로드컴 BCM2837 을 사용한다. 쿼드코어 64bit 그러면 BCM2709 는 어떤칩일까? 찾았다. 바로 Base 가 되는 칩? 이라는 것이다. BCM2709 에 살을 붙여서 2837 이 나왔다는 이야기 실제로 불일치는 실리콘 및 칩 패키지의 지정 때문입니다. 원래 BCM2708로 알려진 실리콘 다이가 있었고 모든 초기 개발은 이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습니다. 256MB DRAM이 있는 스택형 9x9 패키지에서는 BCM2763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(스택은 말 그대로 프로세서 상단에..

라즈베리파이 , VNC 연결시 블랙아웃 해결하기 ( Cannot currently show the desktop )

라즈베리파이4 의 경우 빈번히 발생하는데 Raspi-config 에서 VNC 설치하고 VNC 해상도를 1920x1080 하고 리붓하면 아래처럼 검은화면을 볼 때가 있다. 마이크로 hdmi 단자라 막막하기만하다 만약에 간단한 콘솔로 연결만 해도된다 (해상도 작아도된다 싶으면 아래와 같이 간단히 해결된다.) raspi-config 를 타이핑하여 위와 같이 hdmi 를 disable 하고 composite 를 활성화해주면 대부분 켜진다. 다만 작은화면을 볼 수 있다. 여기서 간단한 터미널 콘솔 작업은 무난하게 할 수 있다. 다음은 해상도가 높아야한다면 부트 컨피그를 수정하자 raspi-config 에서 다시 default 으로 바꿔준다. (안바꿔도되는지는 모르겠다. ) 그리고 부트 컨피그로 접속한다. sudo..